
code-challenge.elice.io 엘리스 코드 챌린지 Day 1에는 '목표량'이라는 문제가 나왔습니다. 저는 다음과 같이 next_permutation 함수를 이용하여 풀었습니다.이 함수는 배열, vector, string 등의 first, last iterator를 받아서 사전순으로 바로 다음인 순열을 만들어줍니다. 만약 그런 순열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0을 리턴합니다.따라서 이 함수를 알고 있으면 본 문제를 보다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include using namespace std;int main() { string N; cin >> N; next_permutation(begin(N), end(N)); cout

7월 5일 15시 ~ 7월 6일 15시 동안 진행되었다. 대학생이 된 후 처음으로 치르는 메이저 대회였다. 현대모비스는 PS 폼이 별로인 시점에 2년연속티켓페널티를 물기 싫음 + 마침 더 재밌는 일정 + 기출 안 풂 (대회를 대비하는 과정에서 해당 대회에 대한 애정이 생기는 편) 의 사유로, 예선만 대충 치렀다. 팀원들은 대회 가서 괴물같은 모습들을 뽐내고 온 듯 하다... ㅊㅊ Screencast를 youtube에 올렸다. https://youtu.be/VuXg1AEQsXo 문제들에 대한 감상은, 내 기준으로 딱 1 라운드 용으로 재밌게 몸풀기 할 수 있는 난이도였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지문이 두세줄로 끝나는 것이 너무 좋았다. GOAT 간략하게 풀이를 적자면,A보다 B가 좋아: A와 A 사이에는 최..

코드마스터 2023 이후로 세 문제를 출제하였다. 때는 작년 여름 방학. 정시로 늦은 탑승을 하는 것은 승산이 적다고 판단했던 시기. 특기자에 한 줄이라도 더 적을 거 만들자는 생각으로 (사실 함수컵 검수하다가 뽐뿌가 와서.. 그냥 출제가 하고 싶었다) 문제 구상을 시작했다. Sieve Game, 고양이 리그, 신촌방위본부: 지하 벙커의 비밀, 요 세 문제가 그 때 만들어졌다. 당시에 한 일주일간 한적한 카페에 가서 이것저것 생각나는대로 만들어보다가 집에 오는 걸 반복했다. 신촌방위본부: 지하 벙커의 비밀은 SNUPC Call for Tasks에 던졌다가 반려되었고, 이번 SUAPC 2024w Call for Tasks에서 간택되었다. 선발고사 & 함수컵에 출제된 투스텝을 보고 투스텝에 대한 관심이 많이..

unordered_map의 템플릿 인자에 직접 정의한 해시 함수를 넣어서 [핵 피하기] or [원하는 자료형을 key로 사용하기] 를 할 수 있습니다. key의 자료형을 바꾸자 20940번: Pingvin 문제를 깔끔하게 풀고 싶은 마음에 이상한 짓을 했습니다. 다음 코드는 Pingvin 문제에서 456ms로 AC를 받은 코드입니다. 상수 최적화 없이는 TLE가 나기 쉬우므로 주의하세요. 더보기 #pragma GCC optimize("O3") #pragma GCC optimize("Ofast") #pragma GCC optimize("unroll-loops") #include #define rep(i,a,b) for (auto i = (a); i n; rep(i,0,2) cin >> S[i]; rep(i..
매일의 문제 풀이를 기록합니다. 여기서 문제 풀이란, 알고리즘 문제 해결을 의미합니다. 백준/코드포스/앳코더 등의 플랫폼을 이용합니다. 완성도가 높은 글이 아닙니다. 대신 생각의 흐름이 꽤 자세하게 적혀 있을 것 같네요. Suffix array 기본 문제 몇 개랑 상어의 저녁식사 풀었습니다. 딱히 어려운 부분은 없었습니다. Prefix와 Suffix 링크 일단 해싱으로 pfx=sfx들을 효율적으로 구할 수 있고, 이것들이 몇 번 등장하는지를 suffix array를 갖고 구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LCP 배열에서 RMQ를 돌리면..! 어떤 패턴이 몇 번 등장하는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겠다는 신선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해보겠습니다..! 구현량에 걸맞지 않게 한 번에 예제가 나왔습니다. 제..
매일의 문제 풀이를 기록합니다. 여기서 문제 풀이란, 알고리즘 문제 해결을 의미합니다. 백준/코드포스/앳코더 등의 플랫폼을 이용합니다. 완성도가 높은 글이 아닙니다. 대신 생각의 흐름이 꽤 자세하게 적혀 있을 것 같네요. Special Numbers 링크 mirror 팀에서 cozyyg님의 디버깅 도움으로 AC를 볼 수 있었던 문제입니다. 당시 코드가 굉장히 난잡했어서 깔끔하게 다시 풀어볼 생각입니다. 어제(2023.11.28 - [PS 기록들] - Daily PS Comments #1) 풀었던 문제는 "자릿수 곱이 K 이하인 수의 개수"였고, 이 문제는 "자릿수 곱이 K의 배수인 수의 개수"입니다. 비슷하게 풀어보겠습니다. ㅋㅋㅋㅋ xiaowuc1님이 G1 주신 이유를 알겠네요 이제.. 어제 그 문제랑..
매일의 문제 풀이를 기록합니다. 여기서 문제 풀이란, 알고리즘 문제 해결을 의미합니다. 백준/코드포스/앳코더 등의 플랫폼을 이용합니다. 완성도가 높은 글이 아닙니다. 대신 생각의 흐름이 꽤 자세하게 적혀 있을 것 같네요. Digit Products 링크 digit DP이긴 할텐데 곱을 직접 관리하기에는 109까지 커질 수 있으므로 무리가 있다 음.. 그냥 곱을 unordered_map의 인자로 관리하면 그건 되지 않을까? 어차피 소인수 분해 하고나면 대충 (2지수)×(3지수)×(5지수)×(7지수)만큼만 나오니까.. (3×18)×(2×18)×(18)×(18)의 상한을 갖는다 6×184면 꽤 합리적인 크기이다. 그럼 dp(자릿수 인덱스, 곱, tight)으로 관리하면 다 커버가 되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