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블로그
article thumbnail
Published 2023. 2. 21. 11:04
23.02.21: Random Defence ★ PS 기록들

배열과 gcd

문제 링크

난이도가 P3보다 높아져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한다.

풀이

더보기

$\mathrm{let\ }b_i=C_{i-1},\ G_i=C_i,\ b_i=B_i\times G_i.$

$\mathrm{let\ }x_i=X_i\times G_i.$

만약 $G_i\nmid b_i$였다면 $0$을 출력하고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그러면 문제는 각 $i(\ge 2)$에 대해 $\left [1,\lfloor \frac {num} {G_i}\rfloor \right ]$ 속의 $B_i$와 서로소인 $X_i$의 개수를 구해서 전부 곱하는 문제로 바뀐다. (가능한 모든 $X_i$에 대해 $x_i$는 $a_i$로 가능한 모든 값들이다.)

 

euler totient 함수를 변형해보겠다는 생각도 해볼 수 있지만 힘들다.

어쩌면 소인수들에 대한 포함 배제를 이용하여 서로소의 개수를 구할 수 있을 것이다.

애초에 euler totient 함수의 공식을 유도하는 방법 중 하나도 포함 배제이다.

 

포함 배제를 이용했을 때, $f(n):=(n$의 소인수의 개수$)$라 하면, 시간 복잡도는 $O(2^{|f(B_i)|})$이 된다.

$f(n)=O(\log n)$이다.

$B_2\times B_3\times \cdots \times B_n=\frac {C_1} {C_n}$임을 알고 있다. 지수-로그 법칙을 이용해 식을 변형하자.

$\log B_2 + \log B_3 + \cdots + \log B_n = \log \left (B_2\times B_3\times \cdots \times B_n\right )=\log \left (\frac {C_1} {C_n} \right )$이므로, 전체 시간 복잡도는 $O(n+2^{\log C_1} )=O(n+C_1)$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clude <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using ii = pair<int,int>; using ll = long long;
#define rep(i,a,b) for (auto i = (a); i <= (b); ++i)
#define per(i,a,b) for (auto i = (b); i >= (a); --i)
#define all(x) begin(x), end(x)
#define siz(x) int((x).size())
#define Mup(x,y) x = max(x,y)
#define mup(x,y) x = min(x,y)
#define fi first
#define se second
#define dbg(...) fprintf(stderr,__VA_ARGS__)

#pragma region modnum template from ecnerwala/cp-book
// https://github.com/ecnerwala/cp-book/blob/master/src/modnum.hpp
...
#pragma endregion modnum template
using mint = modnum<1'000'000'007>;
const int N = 1e5+3;
int n, k, c[N];

vector<int> factors(int m) { // 1'000
    vector<int> res;
    for (int x = 2; x*x <= m; ++x) {
        if (m%x == 0) {
            res.push_back(x);
            while (m%x == 0) m /= x;
        }
    }
    if (m > 1) res.push_back(m);
    return res;
}

// 2*3*5*7*11*13*17*19*23*29 > 6e9
// |p| <= 10

mint solve(int x, int y) { // 10'240
    auto p = factors(y);
    mint res = 0;
    rep(b,0,(1<<siz(p))-1) {
        int z = x;
        rep(i,0,siz(p)-1) if (b>>i&1) z /= p[i];
        if (__builtin_popcount(b)%2) res -= z;
        else res += z;
    }
    return res;
}

int main() {
    scanf("%d %d", &n, &k);
    rep(i,1,n) scanf("%d", &c[i]);
    // dbg("[1,%d]에서 %d와 서로소인 수의 개수 = %d\n", 1, 1, int(solve(1,1)));
    mint ans = 1;
    rep(i,2,n) {
        int b = c[i-1], G = c[i];
        if (b%G) puts("0"), exit(0);
        int B = b/G;
        ans *= solve(k/G,B);
    }
    printf("%d", int(ans));
}

 

램프

문제 링크

얘는 반대로 P3까지 낮아져야 한다고 본다.

풀이

더보기

cyclic한 상태니까 0-base가 편하다.

초기의 배열을 $a_0,a_1,\ldots,a_{n-1}$이라고 하자.

한 번의 연산을 적용한 배열을 $a'$이라고 하자.

$a'_i=\begin{cases} a_i&\text{if}\;a_{i+1\text{ mod }n}=0\\ \sim a_i&\text{if}\;a_{i+1\text{ mod }n}=1 \end{cases}$

이를 다시 생각하면, $a'_i=a_i\oplus a_{i+1}$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문제의 조건에 따라 큰 $m$번의 연산을 적용한 결과를 빠르게 구하기 위해서는 어떤 로그 단위의 점프를 해나갈 수 있으면 한다. 따라서 이진수에 초점을 맞춰 관찰하자.

 

$a_{j,i}=a_{j-1,i}\oplus a_{j-1,i+1}$이라 하고 $a_{0,i}=a_i$라고 한 뒤 작은 경우에 대해 식을 정리해보자.

$a_{2^k,i}=a_{0,i}\oplus a_{0,i+2^k}$임을 관찰할 수 있다. 이 규칙은 더 일반적으로 봤을 때, $j$항이 $2^k$ 차이날 경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m$의 켜진 비트 $k$들에 대해 기존 배열의 값들을 이용하여 $a_{j+2^k,i}=a_{j,i}\oplus a_{j,i+2^k}$를 반복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include <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using ii = pair<int,int>; using ll = long long;
#define rep(i,a,b) for (auto i = (a); i <= (b); ++i)
#define per(i,a,b) for (auto i = (b); i >= (a); --i)
#define all(x) begin(x), end(x)
#define siz(x) int((x).size())
#define Mup(x,y) x = max(x,y)
#define mup(x,y) x = min(x,y)
#define fi first
#define se second
#define dbg(...) fprintf(stderr,__VA_ARGS__)

const int N = 1e6+3;
int n, m, a[N], b[N];

int main() {
    cin.tie(0)->sync_with_stdio(0);
    cin >> n >> m;
    rep(i,0,n-1) cin >> a[i];
    rep(j,0,30) if (m>>j&1) {
        rep(i,0,n-1) {
            b[i] = a[i] xor a[(i+(1<<j))%n];
        }
        swap(a,b);
    }
    rep(i,0,n-1) cout << a[i] << '\n';
}

 

최고인 대장장이 토르비욘

문제 링크

디버깅하다가 심하게 말렸다.

 

풀이

더보기

각 $i$마다 $s_i,t_i$ 중 하나씩 고른다. 길이로 선택한 요소를 $a_i$, 너비로 선택한 요소를 $b_i$라고 하자.

잘 생각해보면, $i$의 순서는 상관이 없고 그냥 $a_i$가 distinct하면 된다.

이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a_i$를 최대화하면 된다.

 

우선 문제를 풀기 위한 여러가지 고민을 해보자.

 

 

 

충분히 고민을 해 보았는가?

distinct하게 고른다는 성질을 생각하면 이분 매칭과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그래프 모델링을 시도해 볼 수 있다.

이건 필자의 생각이고, 혹시 다른 동기를 갖고 그래프 모델링을 시도했을 경우 댓글에 남겨주면 감사하겠다.

 

$s_i$와 $t_i$를 잇는 간선을 만들어주자.

이렇게 구성된 양방향 그래프에서 각 간선들에 방향을 부여하자.

$a\to b$ 간선은 $a$를 너비로 사용하고, $b$를 높이로 사용한다는 의미를 내포한다고 하자.

너비가 distinct 해야 하므로, 위 규칙에 의해 각 정점의 out degree는 $1$ 이하가 되어야 한다.

 

그래프는 여러 개의 연결 컴포넌트로 구성될 것이다. 각각 처리하면 되므로, 하나의 연결 컴포넌트에 대해서만 고려하자.

 

다음과 같이 그래프가 구성되었을 때, 방향을 부여하는 방법은 한 가지이다.

김도훈 그림.

 물론, 사이클의 방향이 반대일 수 있지만 사이클 위의 정점들은 어차피 전부 정확히 한 번씩 사용하므로 결과적으로 같다.

김도훈 그림.

각 정점의 out degree가 $1$ 이하라는 조건은 사실 잘 생각해보면 functional graph에 매우 가깝다는 의미임을 알 수 있다.

out degree가 $0$인 경우가 존재할까? 그렇다. 그럼 최대 몇 개까지 존재할 수 있을까? 한 개이다.

왜냐하면, 각 간선의 방향이 정해질 때 한 정점의 진출 차수를 가져가기 때문에 간선의 개수가 정점의 개수를 넘을 수 없기 때문이다.

정확히는 $|E|\le |V|$인데, 연결 컴포넌트를 가정했으므로 $|V|-1 \le |E|\le |V|$이여서다.

 

그럼 위의 그래프를 마저 살펴보자. 각 정점은 in degree번 더해진다.

이렇게 더하는 작업은 매우 까다롭다.

따라서 전체 degree에서 out degree를 빼가는 식으로 하자. 왜냐하면 out degree는 전부 $1$로 동일하기 때문이다.

김도훈 그림.

그럼 다음과 같이 다루기 편한 상태가 된다.

김도훈 그림.

 

근데, 이 경우는 out degree가 전부 $1$인 경우이다. 하나가 $0$인, 즉 트리 그래프인 경우도 따져보자.

다음과 같이 out degree가 $0$인 정점을 특정하면 이 정점을 바탕으로 루트 트리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이 정점만 더하지 않는다.

김도훈 그림.

따라서 트리일 경우 제일 값이 작은 노드로 설정해주면 된다.

 

위의 모든 관찰을 하고 나면 구현은 간단하다. 만약 그래프의 강한 조건들을 관찰하지 못했다면 풀기 매우 어려워졌을 것이다.

 

#include <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using ii = pair<int,int>; using ll = long long;
#define rep(i,a,b) for (auto i = (a); i <= (b); ++i)
#define per(i,a,b) for (auto i = (b); i >= (a); --i)
#define all(x) begin(x), end(x)
#define siz(x) int((x).size())
#define Mup(x,y) x = max(x,y)
#define mup(x,y) x = min(x,y)
#define fi first
#define se second
#define dbg(...) fprintf(stderr,__VA_ARGS__)

map<int,vector<int>> adj;
map<int,int> deg;

ii dfs(int s, set<int> &c) {
    static map<int,bool> visited;
    if (visited[s]) return {0,0};
    visited[s] = true;
    c.insert(s);
    ii res = {1,0}, tmp;
    for (auto u : adj[s]) {
        res.se++;
        if (visited[u]) continue;
        tmp = dfs(u,c);
        res.fi += tmp.fi;
        res.se += tmp.se;
    }
    return res;
}

int main() {
    cin.tie(0)->sync_with_stdio(0);
    int n; cin >> n;
    set<int> S;
    ll ans = 0;
    rep(i,1,n) {
        int s, t;
        cin >> s >> t;
        adj[s].push_back(t);
        adj[t].push_back(s);
        ans += s+t;
        S.insert(s), S.insert(t);
    }
    for (auto s : S) {
        set<int> C;
        auto [v,e] = dfs(s,C);
        assert(e%2 == 0), e /= 2;
        if (v == 0 and e == 0) continue;
        if (v-1 == e) {
            for (auto c : C) ans -= c;
            ans += *prev(end(C));
        } else {
            assert(v == e);
            for (auto c : C) ans -= c;
        }
    }
    cout << ans;
}

 

바이오칩

문제 링크: oj.uz인데, 이 문제에 한해 지문이 한글이고 데이터가 더 강하다.

백준 링크

얼마 전에 공부한 트리 DP 최적화 기법을 적용할 수 있길래 기쁜 마음으로 풀었다.

 

풀이

더보기

$\mathrm{dp}(u,x):=T_u$에 대해 조건 하에 $x$개를 뽑았을 때 최댓값.

각 노드 $u$에 대해 다음을 시행하면 된다.

$c\in C_u:$

$\;\;x=\min \{m,|T_u|\}, \cdots, 2,1:$

$\displaystyle \;\;\;\;\mathrm{dp}(u,x)\leftarrow \max \left \{ \mathrm{dp}(u,x), \max_{0\le y\le \min \{x,|T_c|\}} \left \{ \mathrm{dp}(c,y) + \mathrm{dp}(u,x-y) \right \}\right \}$

시간 복잡도 계산이 중요하다.

$O\left (\min \{m,|T_u|\} \times \min \{m,|T_v|\}\right )$ 시간에 두 트리를 합치고 있으므로 문제를 푸는 전체 시간 복잡도는 $O(nm)$이다.

 

#include <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using ii = pair<int,int>; using ll = long long;
#define rep(i,a,b) for (auto i = (a); i <= (b); ++i)
#define per(i,a,b) for (auto i = (b); i >= (a); --i)
#define all(x) begin(x), end(x)
#define siz(x) int((x).size())
#define Mup(x,y) x = max(x,y)
#define mup(x,y) x = min(x,y)
#define fi first
#define se second
#define dbg(...) fprintf(stderr,__VA_ARGS__)

const int N = 2e5+3, M = 503;
int n, m, a[N], r, sub[N];
vector<int> child[N];
vector<ll> dp[N];

void pre(int s = r, int e = 0) {
    sub[s] = 1;
    for (auto u : child[s]) if (u != e) {
        pre(u,s), sub[s] += sub[u];
    }
}
void solve(int s = r, int e = 0) {
    dp[s].resize(min(m,sub[s])+1);
    dp[s][0] = 0;
    for (auto u : child[s]) if (u != e) {
        solve(u,s);
        per(x,1,min(m,sub[s])) rep(y,0,min(x,sub[u])) {
            Mup(dp[s][x],dp[u][y]+dp[s][x-y]);
        }
    }
    Mup(dp[s][1],ll(a[s]));
}

int main() {
    scanf("%d %d", &n, &m);
    rep(i,1,n) {
        int p; scanf("%d %d", &p, &a[i]);
        if (p == 0) r = i;
        else child[p].push_back(i);
    }
    pre(), solve();
    printf("%lld", dp[r][m]);
}
 
profile

알고리즘 블로그

@도훈.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

profile on loading

Loading...